Newstar Story
Newstar Story / 2025. 5. 14. 02:14 / 미국 이야기

캘리포니아주 고속도로에서 과속과 난폭운전에 대한 단속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고속도로순찰대(CHP)는 일반 SUV처럼 보이는 위장 순찰차를 투입해, 운전자들의 불법 행위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번에 도입된 단속 차량은 닷지 듀랭고 SUV로, 높이가 낮고 색상이 다양해 외관상 일반 차량과 크게 다르지 않다. 차체 측면의 작은 CHP 로고 외에는 외부에서 식별이 어려워, 교통 체증 속에서도 자연스럽게 주변 차량을 감시할 수 있다.

이 차량들은 단순히 외관만 위장한 것이 아니다. 300마력의 8기통 엔진과 고속 추적이 가능한 첨단 장비, 블랙박스, 사이렌, 비상등 등이 장착되어 있어 위험 운전자를 발견하는 즉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CHP는 지난해 시속 100마일 이상 과속 1만8천 건, 연간 난폭운전 사고 약 39만 건 등 심각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이 같은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조선일보 5월 12일자 이해광 기자

https://chosundaily.com/bbs/board.php?bo_table=hotclick&wr_id=26411

Newstar Story / 2025. 5. 9. 01:31 / 미국 이야기

연방정부가 추진해온 리얼 ID 제도가 5월 7일부터 전면 시행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만 18세 이상 성인은 미국 내 국내선 항공기를 탑승하거나 일부 연방 청사에 출입할 경우, 리얼 ID 또는 연방정부가 승인한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한다.

국토안보부(DHS)와 교통안전청(TSA)은 리얼 ID가 없는 경우 공항에서의 탑승 절차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캘리포니아를 포함한 전국의 리얼 ID 발급률은 55% 안팎에 머무르고 있어 혼잡이 예상된다.

당국은 항공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주민들에게 리얼 ID를 조속히 발급받을 것을 당부했다. 리얼 ID 대신 여권, 군인 신분증, 영주권 카드 등도 대체 신분증으로 사용 가능하다.

전국 주요 공항들이 리얼 ID 제도 시행에 대비해 준비를 마친 가운데, 탑승 지연에 대비해 승객들에게 평소보다 일찍 공항에 도착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리얼 ID가 없는 경우 여권, 국방부 신분증, 외국 여권 등으로 대체가 가능하지만, TSA는 해당 목록이 언제든 변경될 수 있어 사전 확인을 권장했다.

주요 항공사들은 리얼 ID 미소지자에 대해 현장에서 도움을 주긴 어렵지만, 환불이나 무료 일정 변경은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리얼 ID는 7일 이후에도 발급 가능하다. 캘리포니아 주민은 DMV 웹사이트를 통해 신청서를 작성하고, 신분증·거주증명·소셜시큐리티 번호 등 관련 서류를 업로드한 뒤, 직접 DMV 오피스를 방문해 제출하면 된다.

캘리포니아 DMV는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일부 지점을 예약제로 운영하고, 한 시간 일찍 문을 열고 있다. 현재 전국 리얼 ID 발급률은 약 60%로 집계됐다.

조선일보 5월6일자 이해광 기자

Newstar Story / 2025. 4. 19. 01:49 / 미국 이야기

미국 연방우정국(USPS)이 또다시 우편요금 인상을 추진하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 퍼스트 클래스 우편물(1온스 이하):
  • 기존 73센트 → 78센트로 인상 (5센트 인상)
  • 미국 내 엽서:
  • 56센트 → 62센트
  • 국제 엽서:
  • $1.65 → $1.70

이번이 2000년 이후 19번째 인상이라는 점도 눈에 띈다.

USPS는 ‘Delivering for America’라는 10년 계획의 일환으로 재정 안정성 확보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작년에도 우표값이 68센트에서 73센트로 올랐던 걸 보면, 최근 몇 년 사이 요금 인상 속도가 빠르고 있다.

이번 인상안이 **우편규제위원회(PRC)**의 승인을 받을 경우, 2025년 7월 13일부터 적용된다고 합니다.

출 처 : 한국일보

Newstar Story / 2025. 4. 12. 03:52 / 미국 이야기

▶ 우기 지나 보수 급증
▶ LA서 1분기 4천여 건

▶ 타이어 등 차량 피해
▶ 평균 수리비 600달러  

비로 인한 팟홀 증가

  • 올 초 남가주에 비가 많이 내리면서 도로 손상이 급증.
  • LA 카운티: 1~3월 사이 4,100건 이상 보수 완료 → 연말까지 17,000건 초과 예상.
  • 애나하임: 약 2,500건 보수.
  • 리버사이드 카운티: 1월 143건 → 3월 234건 계속 증가 추세.
  • 팟홀로 인한 피해 보상은 공공기관을 상대로 피해 청구가 가능한데 주와 카운티, 시에 따라 규정이 달라 사전 확인이 필요하다. LA시(claims.lacity.org)와 카운티(bos.lacounty.gov/claims-for-damages)의 경우 온라인으로도 보상 신청을 할 수 있다.

    각 지역 당국은 팟홀 순찰을 정기적으로 진행하기도 하지만, 빠른 대응과 안전을 위해 주민 신고도 적극 당부하고 있다. 예를 들어 LA시는 MyLA311 앱과 웹사이트를 통해 신고를 접수하고 있으며, LA 카운티는 WORKS 앱 또는 전용 전화 (626)675-HELP(4357)로도 접수를 받는다. 고속도로 등 주정부 관할 도로의 경우 캘리포니아주 교통국 포털(csr.dot.ca.gov)에서 신고하면 된다.

    전미자동차협회(AAA) 조사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운전자 10명 중 1명이 팟홀로 인해 수리가 필요할 정도의 차량 손상을 입었으며 평균 수리비용은 약 600달러였다. 1,000달러 이상이 들어가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고 AAA는 전했다.



Newstar Story / 2025. 3. 25. 02:31 / 미국 이야기

▶ 뉴섬 가주지사실 발표

▶ 4월 고지서 자동 적용

캘리포니아 주정부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주민들에게 제공하는 크레딧에 대한 내용이네요. 주지사 개빈 뉴섬은 4월에 수백만 명의 주민들이 평균 137달러의 크레딧을 받을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 크레딧은 캘리포니아의 ‘캡-앤-트레이드’ 프로그램을 통해 기후 변화 대응과 환경적 노력을 지원하면서 동시에 주민들에게 24억 달러에 달하는 구제금의 일부로 지급된다는 점이 중요한 부분입니다.

크레딧은 전기와 천연가스 요금에 자동으로 적용되며, 별도로 신청할 필요 없이 주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간다는 점도 강조됩니다. 크레딧 금액은 전기 요금에서 최소 35달러에서 최대 259달러까지, 천연가스 요금에서는 54달러에서 87달러까지 다양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캘리포니아가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소비를 장려하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면서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주는 방법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뉴섬 주지사의 발언처럼, 이러한 크레딧은 환경 보호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삶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Newstar Story / 2025. 3. 20. 02:22 / 미국 이야기

▶ 과체중·대사증후군 위험 증가하고

▶ 위염·위궤양·십이지장 질환 우려

빠른 식사 습관이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여러 연구 결과를 통해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빠른 식사가 대사증후군, 과체중, 비만, 당뇨병 등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식사 시간을 충분히 갖는 것이 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빠른 식사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은 대부분 우리가 식사하는 동안 느끼는 포만감과 호르몬 반응에 관련이 있습니다. 식사 시간을 천천히 가져야 하는 이유는 렙틴 호르몬의 분비와 관련이 있는데, 이 호르몬은 식사를 한 후 약 15분 정도 지나야 분비되므로, 그 전에 식사를 마친다면 과식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식사 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 단지 건강을 위한 것만이 아니라,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대화하며 식사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도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잘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식사 습관을 조금만 개선해도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빠른 식사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잘 알게 되었으며, 앞으로는 식사 시간을 충분히 가지려고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출 처 : 한국 일보

Newstar Story / 2025. 3. 8. 02:55 / 미국 이야기

▶ LA필 2025-26시즌 발표

▶ 10월16일 독주 리사이틀

▶ 내년 2월 LA필과 협연도

임윤찬의 디즈니홀 데뷔 소식이 정말 기대됩니다!

그가 2022년 반클라이번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역대 최연소 우승을 차지한 이후로 그의 경력이 눈부시게 성장하고 있죠. LA 필하모닉과 함께할 예정인 디즈니홀 무대에서도 그의 놀라운 피아노 실력을 제대로 보여줄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10월 16일 첫 독주회와 2026년 2월 슈만 피아노 협주곡 연주가 어떤 모습일지 벌써부터 궁금하네요.

그의 레퍼토리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임윤찬이 어떤 곡을 선택할지에 대한 기대감도 큽니다. 그의 독특하고 감동적인 연주 스타일을 생각하면, 어떤 곡이든 특별한 매력을 선사할 것 같아요.

출 처 : 한국일보

Newstar Story / 2025. 2. 25. 02:54 / 미국 이야기

▶ 머큐리·리버티 인상안 가주 보험국서 승인
▶ 66만여 가구에 영향

리버티 뮤추얼과 머큐리 보험사의 보험료 인상이 정말 중요한 변화로 보입니다. 특히 리버티 뮤추얼은 2%에서 15%까지 보험료가 인상될 예정이라고 하니, 보험 계약자들은 이 변동폭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각 계약자의 보험료가 다르게 인상되므로, 본인의 상황에 맞는 정확한 정보가 필요할 텐데, 보험사에서 제공하는 세부 사항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머큐리는 배관 손실, 수리, 건설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해결하려는 목적을 두고 보험료 인상을 추진했다고 밝혔습니다. 리버티 역시 위험과 변동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이런 보험료 인상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클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보험사와 비교하거나, 필요에 따라 다른 옵션을 고려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변화에 대한 대비책은 무엇을 고려하고 계신가요?

Newstar Story / 2025. 2. 6. 02:44 / 미국 이야기

▶ 전기료 대폭 오른데다 한파 겹쳐

▶ BGE, 연체료 면제·미납해도 서비스

메릴랜드에서 전기요금이 급격히 인상되면서 많은 주민들이 심각한 재정적 부담을 겪고 있습니다. 특히 볼티모어, 파익스빌, 엘리콧시티 등지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에너지 비용 상승에 대해 불만을 표하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겨울철 강추위와 전기 사용량 증가, 천연가스 공급비용 상승이 요금 인상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BGE는 1월과 2월 동안 연체료 면제와 미납 시 서비스 중단을 하지 않겠다고 밝혔지만, 메릴랜드주 의원들은 전기요금이 2010년 이후 3배 이상 상승했고, 향후 2035년까지 2배 이상 더 오를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또한, 메릴랜드는 전력의 40%를 외부 공급원에서 조달하고 있어 공급 부족 시 요금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체적인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이번 요금 인상은 지역 주민들에게 큰 경제적 부담을 주고 있으며,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과 지속 가능한 해결책에 대한 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Newstar Story / 2025. 1. 28. 04:05 / 미국 이야기

▶ LA 램스 재단과 함께

▶ “힘모아 위기극복 기여”

페창가가 어려운 시기마다 지역사회와 함께 해온 노력은 정말 인상적입니다. 부족 보호구역과 그 인근 지역이 산불로 피해를 입었을 때, 항상 도움을 주고받으며 상호 지원하는 관계를 이어왔다는 점에서 그들의 연대감과 헌신이 매우 돋보입니다. 또한, 미 적십자와 LA 램스 재단과의 협력이 피해자들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네요.

페창가 리조트 카지노의 규모와 럭셔리한 시설도 사람들에게 큰 매력을 주는 요소지만, 그들의 커뮤니티 지원 활동이 리조트 그 이상의 의미를 더해주는 것 같습니다. 이처럼 지역사회와 상호 연대하며, 어려움에 처한 이들에게 도움이 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단순히 기업의 책임을 넘어, 지역 사회의 중요한 일원으로서의 역할을 잘 보여줍니다.

페창가가 앞으로도 계속해서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전화 877-711-2946, 웹사이트 ​www.Pechanga.com​

 

 

© 2015 Newstar Story in Newstar Story
Designed by DH / Powered by Tistory
/ /